기념예배 및 제3회 용운의학대상 시상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이자 세브란스병원의 전신인 ‘제중원’ 개원 136주년을 맞아 연세의료원이 기념예배와 심포지엄을 통해 세브란스 정신을 되새겼다.
9일 세브란스병원은 6층 은명대강당에서 ‘제중원 개원 136주년 기념예배 및 제 3회 용운의학대상 시상식’을 가졌다.
행사는 소수 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됐다.
이날 연세대학교 서승환 총장은 “제중원은 구한말 콜레라 전염병 방역의 구심점이었다. 당시 에비슨 박사는 방역의 총 책임자로서 조선사람들을 구하고자 애썼다. 137년이 지난 세브란스병원 의료진들은 ‘코로나19’로부터 국민을 구하고자 밤낮을 가리지 않고 애쓰고 있다. 의료진들을 보면 에비슨 박사가 생각나는 것은 나뿐만 아닐 것이다. 바이러스와의 남은 전쟁을 꼭 헤쳐 나가길 바란다”라고 격려했다.
윤동섭 의료원장은 “연세의료원의 뿌리인 제중원은 1885년 이 땅에 질병으로 고통받는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개원했다”고 세브란스의 역사를 밝히며 “과거 전 세계적 전염병이 유행했을 당시 세브란스의 모습을 돌이켜보면서 COVID-19가 여전히 인류를 위협하는 가운데 연세의료원은 사명감과 소명의식으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3회를 맞은 용운의학대상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 올해는 의대 조병철 교수(내과학)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조병철 교수는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EGFR 변이 폐암에서 국내 신약인 레이저티닙(YH25448)의 효과를 규명해 Clinical Cancer Research, Lancet Oncology 등 주요 저널에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조병철 교수가 허가 임상을 주도한 가운데 레이저티닙은 1월 ‘렉라자’라는 이름으로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그는 또한 보건복지부 주관 면역중개연구 사업을 통해 수행한 과제로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용운의학대상은 조락교 삼륭물산 회장 겸 용운장학재단 이사장의 뜻과 지원에 따라 연세대 의대와 용운장학재단이 2019년 제정한 상이다.
메디칼통신 손용균 기자
asanman7@naver.com